홍천군 내면 자운4리(덕두원)/20010512-20010513
24년 전....
가이드촬영은 적도의에 CCD 자동가이드 기능이 없는 제품이라 암시야 가이드 어댑터(Vixen GA-4)에 아이피스를 끼운 망원경을 들여다보며 기이드성이 십자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기 스위치를 조작해야 한다. 정밀하게 극축을 맞추기도 만만치 않고, 조정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일정한 패턴을 기억시키면 되지만 자동가이드가 되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다. 촬영하는 동안(최대 15분 정도) 아이피스를 들여다보아야하는 지난한 작업이다. 필름카메라로 촬영하니 디지털카메라처럼 촬영한 사진의 노출상태를 바로 확인해서 다음 촬영에 반영하지 못한다. 촬영할 때 필름의 노출상태를 기록해 두었다가 필름현상 후 노출상태를 분석하여 다음 번 촬영 시 참조하는 수밖에 없었다.
마차부자리
010121/Nikon FM+28mm(f2.8)/F4.0/15분 수동가이드/E200/2배 증감현상/슬라이드필름 스캔/홍천 덕두원/20010512.21:18
가이드촬영하면 별이 점상으로 촬영되는 대신 지상의 경치가 궤적을 그린다.
● 적도의(GPD+SkySensor2000PC)+굴절망원경(Borg76ED)+GA4를 이용하여 수동가이드 촬영하였다.
[출처] Stellarium
쌍둥이자리
010123/Nikon FM+28mm(f2.8)/F4.0/14분 수동가이드/E200/2배 증감현상/슬라이드필름 스캔/홍천 덕두원/20010512.21:52
[출처] Stellarium
쌍둥이자리
010125/Nikon FM+50mm(f1.4)/F2.0/3분 수동가이드/E200/2배 증감현상/슬라이드필름 스캔/홍천 덕두원/20010512.22:30
[출처] Stellarium
백조자리+은하수
010131/Nikon FM+50mm(f1.4)/F2.0/3분 수동가이드/E200/2배 증감현상/슬라이드필름 스캔/홍천 덕두원/20010512.23:26
[출처] Stellarium
백조자리+은하수
010132/Nikon FM+50mm(f1.4)/F4.0/12분 수동가이드/E200/2배 증감현상/슬라이드필름 스캔/홍천 덕두원/20010512.23:35
전갈자리(안타레스)
010133/Nikon FM+50mm(f1.4)/F4.0/12분 수동가이드/E200/2배 증감현상/슬라이드필름 스캔/홍천 덕두원/20010512.23:58
운두령 방향
[출처] Stellarium
북두칠성(월령 19.8일 달밤)
010137/Nikon FM+28mm(f2.8)/F4.0/5분 고정촬영/E200/2배 증감현상/슬라이드필름 스캔/홍천 덕두원/20010513.03:47
자정에 월령 19.8일 달이 뜨며 하늘이 밝아지기 시작하였다. 달이 없는 날은 새벽까지 촬영을 계속하지만 달빛을 피하여 북쪽 하늘의 카시오페이아자리와 북두칠성을 촬영하다가 필름이 소진되어 촬영을 중단하였다. 다른 카메라(FM2)로는 한 장을 더 촬영(04:20)하고 철수하였다. 보리밭이 잔디처럼 보인다.
[출처] Stellarium
[참고] 사진 설명의 첫 부분에 있는 앞의 두 자리 숫자는 촬영년도이고, 다음 두 자리 숫자는 해당년도의 일련번호, 마지막 두 자리는 필름의 고유번호이다. 별사진 필름 보관홀더에는 앞의 4자리 숫자가 기록되어 있다.
[예전 포스팅]
2001년(1).... https://hhk2001.tistory.com/3635
[출처] 네이버지도
'옛 필름 별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발현(운두령임도/O-1지점)/20011118(#0102+#0103) (0) | 2025.01.27 |
---|---|
홍천군 내면 자운리(운두령임도/E지점)/20011021(#0102) (0) | 2025.01.26 |
홍천군 내면 자운4리(덕두원)/20010421-20010422(#0101) (0) | 2025.01.13 |
태기산 임도 끝/20010414-20010415(#0101) (4) | 2025.01.11 |
태기산 임도 끝/20010414(#0006)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