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발현(운두령임도/O-1지점) 사자자리 유성우-3/20011119
24년전....
당시 필름카메라 2대(Nikon FM+FM2)로 촬영하였다. 디지털카메라와는 달리 B셔터를 이용하여 기계식 릴리즈를 사용하였다. 알람기능이 있는 디지털 타이머로 노출시간을 재서 일일이 손으로 릴리즈를 눌렀다. 카메라에 잡광이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붉고 어두운 LED 손전등만 잠깐씩 켜서 촬영정보(촬영 시작시간+F값+노출시간+촬영대상+가로 및 세로 촬영 여부)를 일일이 기록하였다. 현재 촬영하고 있는 사진을 보는 것은 집으로 돌아와서 DP점 의뢰하여 필름의 현상과 인화 과정을 거칠 때까지 여러 날이 지나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진 끝 부분에 있는 당시의 촬영정보 내용 중에서 (필름)번호는 추후 현상한 필름을 확인해서 추가 기록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자동으로 기록되는 정보지만 필름카메라에서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친 것이다. 노출시간이 20~30분 이상 길면 기록하는데 다소 시간 여유가 있기는 하지만 어두운 상태에서 혼자 작성하기는 만만치 않았다. 유성우 사진처럼 노출시간이 짧으면 노출정보를 기록할 여유가 없었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와 달리 적정노출 여부를 촬영한 사진을 보면서 바로 확인할 수 없다. F값이나 노출시간을 어떻게 해야 할지 늘 고심해야 했다.

마차부자리+사자자리 유성우
010401/Nikon FM2+28mm(f2.8)/F2.8/12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3:40

[출처] Stellarium

마차부자리+사자자리 유성우
010402/Nikon FM2+28mm(f2.8)/F2.8/12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3:40 이후

마차부자리+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
010403/Nikon FM2+28mm(f2.8)/F2.8/12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3:40 이후

[출처] Stellarium

사자자리 유성우(복사점 부근)+유성흔
010404/Nikon FM2+28mm(f2.8)/F2.8/12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4:50경

[출처] Stellarium

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1)
010409/Nikon FM2+50mm(f2.0)/F2.8/6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5:01

[출처] Stellarium

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2)
010410/Nikon FM2+50mm(f2.0)/F2.8/6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5:01 이후

[출처] Stellarium

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3)
010411/Nikon FM2+50mm(f2.0)/F2.8/6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5:01 이후

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
010413/Nikon FM2+50mm(f2.0)/F2.8/6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5:01 이후

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
010414/Nikon FM2+50mm(f2.0)/F2.8/6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5:01 이후

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
010415/Nikon FM2+50mm(f2.0)/F2.8/6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5:01 이후

북극성+사자자리 유성우
010416/Nikon FM2+50mm(f2.0)/F2.8/6분 고정촬영/G800/네가필름 스캔/불발현/20011119.05:01 이후
서서히 날이 밝아온다.


[참고] 사진 설명의 첫 부분에 있는 앞의 두 자리 숫자는 촬영년도이고, 다음 두 자리 숫자는 해당년도의 일련번호, 마지막 두 자리는 필름의 고유번호이다. 별사진 필름 보관홀더에는 앞의 4자리 숫자가 기록되어 있다.
[예전 포스팅]
■ 2001년(4) - 사자자리 유성우..... https://hhk2001.tistory.com/3632
2001년(4) - 사자자리 유성우
강원도 홍천군 불발령 / 2001.11.19. 새벽/ 고정촬영 2~3사이 및 8~9사이의 사진은 찍힌 유성이 없어 빼고, 각각 7분씩 한 곳을 연속촬영했다. 사진과 사진사이의 준비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으므로 약
hhk2001.tistory.com
● 유성은 언제 어느 위치에 나타날지 모르는 것이 특징이다. 어쩌다가 촬영하는 화각 안에서 상당히 밝게 보인 유성도 노출시간이 긴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기도 한다. 요즈음(디지털카메라)에도 유성이 사진 귀퉁이에 조금 찍히기만 해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24년 전(20011119)의 사자자리 유성우는 정말 대단했다.

[출처] 카카오맵

[출처] 카카오맵
'옛 필름 별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발현(운두령임도/O-1지점)사자자리 유성우-2/20011119(#0103) (2) | 2025.03.13 |
---|---|
불발현(운두령임도/O-1지점) 사자자리 유성-1/20011119(#0102) (2) | 2025.03.09 |
불발현(운두령임도/O-1지점)/20011118(#0102+#0103) (0) | 2025.01.27 |
홍천군 내면 자운리(운두령임도/E지점)/20011021(#0102) (0) | 2025.01.26 |
홍천군 내면 자운4리(덕두원)/20010512-20010513(#0101)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