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경의선(3)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중정비동/20250818-20250822

 

어쩌다가 아니라 계속 차를 운전해서 출퇴근하기는 몇 년 만인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전철을 이용하면 2~3회 환승하여 50~70분이 걸리는 행신역에서 하차한다. 소요시간의 편차가 큰 이유는 서해선 및 경의중안선의 배차간격이 드물어서 연결이 잘되지 않으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약속한 도착시간 보다 20~30분의 여유를 두어야 안심할 수 있다. 행신역에서는 동료직원이 운전하는 차량을 이용하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까지 간다.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직원들은 행신역에서 전용통로를 이용하면 가까운 거리지만, 일반인은 차로 이동하면 3.7km, 걸어서 45분(2.9km)의 거리를 빙 돌아가야 한다. 우리집에서 행신역까지 약 12km로 30분 거리인데 실제로는 도로정체를 감안하여 여유를 두고 출발한다. 전철을 타는 것보다 좀 유리하기도 하고, 동료들이 행신역에서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까지 하루에 두 번 태워다 주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소나기가 갑자기 내린다./20250821

 

 

 

■ 20250818-20250822 (경의선(3) : 5일 : 대중교통/1일+자가용 144km) -우장산역-전철5-김포공항역-서해선 능곡역-경의중앙선-행신역-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행신역-경의중앙선-공덕역-전철5-우장산역(0818) -마곡동로-공항대로-김포공항입구교차로-개화동로-행주대교-호국로-행주고가교차로-행신로-소원로-행신역(되돌아서)-소원로-행신로-행주고가교차로-행주로-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행신역(되돌아서)~행주대교-개화동로-개화사거리-양천로-마곡중앙로-수명산파크3단지교차로-강서로47길(32.3km/0819) -마곡중앙로-마곡역-양천로-방화2단지교차로-올림픽대로-행주대교-호국로-행주고가교차로-행신로-소원로-행신역(되돌아서)-소원로-행신로-행주고가교차로-행주로-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행신역(되돌아서)~행주대교-개화동로-김포대로-신곡사거리 유턴-김포대로-개화동로-김포공항입구교차로-공항대로-마곡동로(34.8km/0820) -마곡중앙로-마곡역-양천로-방화2단지교차로-올림픽대로-행주대교-호국로-행주고가교차로-행신로-소원로-행신역(되돌아서)-소원로-행신로-행주고가교차로-행주로-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행신역(되돌아서)-소원로-서정마을사거리-중앙로-수색로-사천교교차로-성산로-세브란스-성산로-성산대교북단교차로-강북강변-가양대교-올림픽대로-강서로-발산역-이대서울변원 주변-마곡동로(45.7km/0821) -마곡중앙로-마곡역-양천로-방화2단지교차로-올림픽대로-행주대교-호국로-행주고가교차로-행신로-소원로-행신역(되돌아서)-소원로-행신로-행주고가교차로-행주로-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행신역(되돌아서)~행주대교-올림픽대로-강서로(주유)-강서로-발산역(31.4km/0822)

 

 

 

[출처]  카카오맵

'여기는요_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연미정/20250817  (8) 2025.08.17
경의선(2)/20250811-20250814  (2) 2025.08.13
경의선(1)/20250804-20250808  (2) 2025.08.10
광혜원(제중원)/20250727-20250730  (2) 2025.08.10
예천군 경북선 용궁역/20250721  (8) 2025.08.09
Posted by 하헌국
,

강화도 연미정/20250817

 

차를 관리하는 차원에서 일주일 만에 운행하게 되었다. 오랜만에 큰손자가 동행하겠다고 한다. 혼자라면 김포 석탄리와 후평리 들판을 다녀오려고 하였으나 손자에게 연미정은 어떻겠냐고 하니 좋다고 한다. 한 때는 식구들과 더위를 피해 다녀오던 곳인데 성북동집을 운영하면서 뜸하였는데 마지막으로 2년 전(20230911)에 다녀왔다. 급할 것이 없겠기에 지름길로 가지 않고 전류리포구와 하성을 지나는 길을 이용하였다.

 

 

 

 

 

 

 

 

 

 

 

 

 

 

 

 

 

월곶돈대 출입문에 들어서니 연미정 우측의 느티나무만 초라하게 서 있다.

 

 

 

 

 

2019년 9월 초에 태풍 링링으로 연미정 좌측에 있던 느티나무(아래 사진 참조)가 부러졌다. 지금은 그루터기에서 나온 새순이 있기는 하지만 연미정 양쪽으로 느티나무 거목이 버티고 있어서 풍성한 모습을 기억하는 입장에서 보니 초라해 보인다. 우측의 느티나무도 가지를 많이 잘라냈으며 연미정으로 접근하는 통로도 느티나무 후면으로 바뀌었다. 

 

 

20170716 촬영

 

 

 

 

 

태풍 링링으로 부러진 느티나무 그루터기에서 자란 새순과 부러진 나무가 쓰러진 방향 표시....

 

 



 

태풍 '링링'으로 연미정 북측 느티나무 부러짐(20190907?)

인터넷상에서 부러진 날짜를 찾아보았으나 최초 언론에 보도된 날짜는 9월 9일이고, 부러진 날짜는 9월 7일(2군데)과 8일(1군데)로 되어 있거나 대부분은 그냥 태풍 '링링'의 영향이라고만 되어있다. 이 느티나무로 전통가구(강화반닫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 안내판도 부러진 나무 부근에 있지 않고 엉뚱하게 월곶돈대 밖의 진입로 옆에 있다.

 

 

 

[출처]  인터넷 강화뉴스/20210510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 '강화반닫이'로 재탄생.....  http://www.ganghw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09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 ‘강화반닫이’로 재탄생 - 인터넷 강화뉴스

지난 2019년 초대형 태풍 ‘링링’에 쓰러진 강화군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 보호수가 전통가구 ‘강화반닫이’로 재탄생했다.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는 지난 2000년 11월 인천시 유형문화재 24호로

www.ganghwanews.co.kr

 

 

 

 

 

 

 

 

 

 

 

 

 

 

 

 

 

 

 

제주도에 사는 친구가 군대생활 할 때 올랐다는 고려산도 보이고....

 

 

 

 

 

 

 

 

한강(조강)과 서해가 만나는 유도도 보인다. 

 

 

 

 

 

연미정을 둘러보고 가게에서 시원한 음료도 마셨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을 내비게이션으로 확인해 보니 정체되는 곳이 여러 군데이다. 강화도 동측의 해안동로를 이용하여 광성보와 초지진을 지나서 초지대교를 건넜는데 여기도 지름길은 정체가 된다. 약암리에서 아라인천터미널을 거쳐서 아래뱃길(경인운하) 옆으로 난 정서진로를 이용하여 집으로 돌아와서 늦은 점심을 먹었다. 

 

 

  40년 넘게 강서구에서 사고 있으니 강화도는 간편하게 갈 수 있는 곳이기에 많이 다녀왔다. 지금보다 도로 사정이 나빴던 젊은 시절에는 강화도에서 정오 이전에 강화대교를 넘지 않으면 도로가 막힌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으며, 늦으며 차라리 자정 가까이까지 강화도에서 머물다가 집으로 돌아오기도 하였었다. 

 

 

 

■ 20250817 (강화 연미정 : 1일 : Thomas와 : 129km) -마곡중앙로-마곡역-양천로-방화2단지교차로-올림픽대로-김포한강로-운양용화ic-운양삼거리-78금포로-마곡사거리-하성로-하성교차로-56애기봉로-김포대학로-김포대학입구교차로-48김포대로-강화대교-해안북로-연미정-동문로-옥림1교-48-강화대교교차로-역사관입구교차로-해안동로-광성보입구교차로-초지진-초지교차로-초지대교-대명항로-약암지구사거리-약암로-거첨로-청운교-북청라ic삼거리-경인황3교차로-정서진7로-정서진로-백운교 남단-수송도로삼거리-39벌말로-고촌ic-김포대로-48개화동로-남부순환로-강서면허시험장-

 

 

 

 

 

Posted by 하헌국
,

Jun네 여름휴가/20250807-20250810

 

Jun네가 여름휴가를 강원도 고성으로 다녀왔다. Jun을 기준으로 6년째인데 Seung이 태어나던 해에는 Jun과 아빠만 다녀오기도 하고, Seung은 돌 때부터 갔다고 한다. 초창기에 아들에게 여름휴가를 어디로 다녀왔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 '고성'이라고 대답하기에 손자 데리고 경상남도 통영 갈 때 지나가는 공룡으로 유명한 '고성'을 다녀온 줄 알았다. 내가 공룡박물관을 두 번 다녀온 곳이기에 당연히 거기라 생각하고 관련된 이야기 했는데, 아들이 동해안 이야기만 할 뿐 전혀 이해를 하지 못하여 동문서답이 되었었다. 해마다 같은 민박집에서 머문다는데 다양하게 다른 곳을 가지 않고 '고성'으로만 가는 이유가 궁금하였다. 조개도 잡고, 손자들이 민박집의 강아지 '다롱이'를 보고 싶어 하는 것도 이유 중의 하나란다.

 

  양양 낙산사

 

 

 

 

 

 

 

 

 

 

  고성 초도해변+고성 화진포해변

 

 

 

 

 

 

 

 

 

 

다롱이

 

 

고성 통일전망대

 

 

여름휴가를 마치고 돌아와서 고성에서 잡은 조개를 할머니와 할아버지도  잡숴보시라며 초록집에 가져왔다. 

 

 

Jun과 Seung이 잡은 조개를 넣은 미역국.

 

Posted by 하헌국
,

경의선(2)/20250811-20250814

 

  가좌역/20250811

 

 

 

 

 

 

 

 

 

 

 

 

 

 

 

 

 

 

 

 

 

 

 

 

 

 

 

 

 

 

 

  가좌역/20250812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20250813

 

  행신역(경의중앙선)

 

 

 

 

 

 

 

 

 

 

 

 

 

 

 

 

 

 

 

 

 

 

 

 

 

 

 

 

20250813 폭우 속의 경의선 행신역

짧은 시간동안 많은 비가 내렸다. 집에서 가까운 김포공항의 일강우량은 244.7mm 이었으며, 행신역 인근의 고양(주교동)의 일강우량은 234.0mm 이었다. 가양대교 북단진입로가 물바다가 되었다는 뉴스가 떴다. 전철도 운행이 중단된 구간이 있고, 폭우로 서행하여 시간이 지체되었다는 안내방송도 나온다. 조그만 접이우산을 들고 출근하였는데 퇴근길에는 옷과 신발이 흠뻑 젖었다. 이런 폭우는 오랜만이다.

 

 

 

  행신역(KTX)

경부, 호남고속철도의 시발역....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20250814

 

행신역(경의중앙선)

 

 

 

 

 

 

 

 

 

 

 

 

 

 

 

 

 

■ 20250811-20250814 (경의선(2) : 4일 : 대중교통) -우장산역-전철5-공덕역-경의중앙선-가좌역~우장산역(0811) -우장산역-전철5-공덕역-경의중앙선-가좌역~우장산역(0812) -우장산역-전철5-김포공항역-서행선-능곡역-경의중앙선-행신역-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우장산역+폭우=일강우량(김포공항) 244.7mm(0813) -우장산역-전철5-김포공항역-서해선-능곡역-경의중앙선-행신역-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우장산역(0814)

 

 

Posted by 하헌국
,

경의선(1)/20250804-20250808

 

  가좌역/20250804

 

 

 

 

 

 

 

 

 

 

 

 

 

 

 

 

 

 

 

 

 

 

 

 

 

 

 

 

 

 

 

 

 

 

 

 

 

 

 

 

  3호건 원흥역/20250805

 

 

 

 

 

 

 

 

 

 

 

 

 

 

 

 

 

 

 

 

 

 

 

 

 

 

 

 

 

 

 

 

 

 

 

 

 

 

 

 

 

 

 

  공덕역/20250806

 

 

 

 

 

 

 

 

 

 

 

 

 

 

 

 

 

 

 

 

 

 

 

 

 

 

 

 

 

 

 

 

 

 

 

 

 

 

 

 

 

 

 

 

 

 

스마트폰 앱 'Gemini' 설치

인공지능 앱을 사용해야 할 텐데 하며 지금까지 미루고 있었다. 동료분의 권유로 구글의 'Gemini'를 설치하였다. 가장 먼저 음성으로 검색해 본 것은 내 블로그인 '별을 보는 창문'이고, 다음으로 퇴근 후 찾아갈 세브란스였다. 음성으로 검색하려니 생각보다 쉽지 않고 엉뚱하게 알려주어서 여러 번 반복해야 했다.

 

 

 

 

 

 

  한국항공대역/20250807

 

 

 

 

 

 

 

 

 

 

 

 

 

 

 

 

 

 

 

 

 

 

 

 

 

 

 

 

 

 

 

 

 

 

 

 

 

 

 

 

  신촌역(경의선)

한국항공대역에서 퇴근할 때 신촌역(경의선)에서 하차하였다. 신촌역을 이용해 보기는 평생 처음이다.

 

 

 

 

 

 

 

 

 

 

 

 

 

세브란스에서....

 

 

 

 

 

 

 

 

 

 

 

  한국항공대역/20250808

 

 

 

 

 

 

 

 

 

 

 

 

 

 

 

 

 

 

 

 

 

 

 

 

 

 

 

 

 

 

 

■ 20250804-20250808 (경의선 : 5일 : 대중교통) -우장산역-전철5-공덕역-경의중앙선-가좌역~우장산역(0804) -우장산역-전철5-김포공항역-서해선-대곡역-전철3-원흥역(3호선)~우장산역(0805) -우장산역-전철5-공덕역(경의선)~우장산역(0806) -우장산역-전철5-공덕역-경의중앙선-한국항공대역-경의중앙선-신촌역-세브란스-신촌역-전철2-영등포구청역-전철5-우장산역(0807) -우장산역-전철5-공덕역-경의중앙선-한국항공대역-경의중앙선-홍대입구-전철2-신촌역-세브란스-신촌역-전철2-영등포구청역-전철5-우장산역(0808)

 

Posted by 하헌국
,

광혜원(제중원)/20250727-20250730

 

1885년(고종 22년) 미국인 선교사 호러스 알렌이 일반 백성의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원이다. 광혜원은 문을 연 지  13일 만에 대중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세브란스...

 

북한산 족두리봉+안산+인왕

 

 

해넘이

 

 

 

 

 

해돋이

 

Posted by 하헌국
,

예천군 경북선 용궁역/20250721

 

회룡포에서 머지않은 용궁역 부근이 순대로 유명한 동네라고 한다. 덕분에 용궁단골식당(신관)에서 점심을 먹고 가까운 경북선 용궁역을 둘러보았다. 

 

 

 

 

 

 

 

 

 

 

 

 

 

김천방면 및 영주방면으로 각각 하루 5회 무궁화호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역사 이름이 '용궁역'이라서 인지 역사 내부의 '별주부전' 이야기가 있다. 오토마타(automata)??

 

 

 

 

 

 

 

 

 

 

 

 

 

 

 

 

 

 

 

 

 

 

 

 

 

 

 

 

 

 

 

 

 

 

 

카페는 월요일이라서 쉰다고 한다.

 

 

 

 

 

 

 

 

 

 

 

■ 20250721-20250725 (안동/경상북도청(2주차) : 4박5일 : 659km) -발산역-강서로-올림픽대로-강일ic-수도권제1순환고속-중부고속-호법jc-영동고속-여주휴게소-여주jc-중부내륙고속-문경휴게소-점촌함창ic-3-사아매교차로-경서로-선양교차로-34경서로-용궁-34경서로-왕산교차로-85용비로-제2행정타운네거리-도청대로-천년의숲네거리-경상북도청-(업무차량)-도청대로-85-34-용궁(점심+용궁역)-34-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914도청대로-도청신도시ic교차로-34경서로-교리교차로-경동로-문화광장길-안동(Ct/1박) (0721) -대안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Sim)-도청대로-도청신도시ic교차로-경서로-교리교차로-경동로-문화광장길-안동(Ct/2박) (0722) -남문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문화광장길-안동(Ct/3박)+내생일(0723) -대안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도청대로-도청신도시ic교차로-경서로-교리교차로-경동로-문화광장길-안동(Ct/4박)(0724) -대안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천년의숲네거리-도청대로-제2행정타운네거리-85용비로-왕산교차로-34경서로-선양교차로-경서로-시아매교차로-3-점촌함창ic-중부내륙고속-여주jc-영동고속-여주휴게소(점심+주유)-호법jc-중부고속-수도권제1순환고속-강일ic-올림픽대로-발산ic-발산역-(0725)

 

 

 

 

 

Posted by 하헌국
,

안동 경상북도청(3)/20250721-20250725

 

월요일(0721) 새벽에 서울집을 출발하여 오전에 경상북도청에 도착하였다. 다음 날 부터의 일과는 08:00에 시작하여 17:00~17:30까지로 내게는 만만치 않은 일정이었다. 화요일(0722) 갑작스런 소식을 접한 이후로는 무기력에 빠졌다. 년 초에 기념일로 입력해 둔 생일(0723)에는 알림을 보아서 알았으나 식구들도 내 생일에 신경 쓸 상황이 아니었는데 이튿날 아들의 전화를 받았다. 다음날(0724) 퇴근하여 숙소에 돌아왔는데 기침이 나고 열이 나기에 약국에서 약을 사 먹었다. 

 



 

 

 

 

 

 

 

 

 

 

 

 

 

 

 

 

 

 

 

 

 

 

 

 

 

 

 

 

 

 

 

드론팀이 합류하여 라이다를 탑재한 드론으로 기와지붕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난주에는 도청에서 가까운 풍산에서 숙박하였는데, 이번 주에는 무슨 운동경기로 숙소가 사전 예약이 완료되어 30분 거리의 안동역(폐역)  부근에서 숙박하였다.

 

 

 

 

 

■ 20250721-20250725 (안동/경상북도청(2주차) : 4박5일 : 659km) -발산역-강서로-올림픽대로-강일ic-수도권제1순환고속-중부고속-호법jc-영동고속-여주휴게소-여주jc-중부내륙고속-문경휴게소-점촌함창ic-3-사아매교차로-경서로-선양교차로-34경서로-용궁-34경서로-왕산교차로-85용비로-제2행정타운네거리-도청대로-천년의숲네거리-경상북도청-(업무차량)-도청대로-85-34-용궁(점심+용궁역)-34-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914도청대로-도청신도시ic교차로-34경서로-교리교차로-경동로-문화광장길-안동(Ct/1박) (0721) -대안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Sim)-도청대로-도청신도시ic교차로-경서로-교리교차로-경동로-문화광장길-안동(Ct/2박) (0722) -남문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문화광장길-안동(Ct/3박)+내생일(0723) -대안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도청대로-도청신도시ic교차로-경서로-교리교차로-경동로-문화광장길-안동(Ct/4박)(0724) -대안로-경동로-교리교차로-경서로-도청신도시ic교차로-도청대로-경상북도청-천년의숲네거리-도청대로-제2행정타운네거리-85용비로-왕산교차로-34경서로-선양교차로-경서로-시아매교차로-3-점촌함창ic-중부내륙고속-여주jc-영동고속-여주휴게소(점심+주유)-호법jc-중부고속-수도권제1순환고속-강일ic-올림픽대로-발산ic-발산역-(0725)

 

 

 

 

 

 

●  출장을 마치고 서울집으로 복귀한 다음 날(0726) 동네 이비인후과에 갔더니 코로나검사부터 하자고 한다. 양성반응이 나왔다.  기침이 나기 시작한 이틀 전에 오랜 시간 같은 환경에서 일한 동료도 몸이 개운치 않아서 코로나검사를 해보니 음성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Posted by 하헌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