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시화호갈대습지공원/20121118

 

바쁠 것 없이 여유롭게 길을 나섰다.

가을의 막바지라 이제 단풍을 보려면 남도에나 가야하지 않을까?

지난 여름에 시화호갈대습지공원에 들렸을 때 갈대가 하얗게 폈을 때의 모습을 보고 싶었었다.

 

 

 

 

 

 

 

 

 

 

 

 

 

 

 

 

 

 

 

 

 

 

 

 

 

 

 

 

 

 

 

 

 

 

 

 

 

 

 

 

 

 

 

 

 

 

 

 

 

 

 

 

 

 

 

 

 

 

 

 

 

 

 

 

 

 

 

 

 

 

 

 

 

 

 

 

 

 

 

 

 

 

 

 

 

 

 

 

 

 

 

 

 

 

 

 

 

 

 

 

 

 

 

 

 

 

 

 

 

 

 

 

 

 

 

 

 

 

 

 

 

일요일은 해설사가 근무하지 않는다.

그리고 해가 지기 전에 공원에서 퇴장해야 한다.

물론 시화갈대습지공원 밖에서는 공원을 배경으로 사진촬영이 가능하다지만..... 

 

 

[전에는.....]  20120922 

 

1118 -남부순환-서부간선-서해안고속-목감ic--42수인로-39-해안로-시화호갈대습지공원(되돌아서)-해안로-별망로-시화공단-301-시화방조제-대부도(칼국수)-시화호길-형도(일몰 보고)-시화호길-대부도공원-301시화방조제길-오이도-77-월곶교차로-서해안로-시흥ic-오류동역사거리-46경인로-오류ic-남부순환- (시화호갈대습지공원+시화호길 : 일몰 : 140Km)

 

Posted by 하헌국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2012 파주 장단콩축제/20121117

 

엊저녁에 비가 내린 때문인지 하늘은 청명하고 초겨울 날씨답게 썰렁하다.

오늘부터는 겨울복장으로 여행을 하기로하여 단단히 차려입고 나섰다.

 

 

 

 

 

 

 

 

 

 

 

 

 

 

 

 

 

 

 

 

 

 

소원도 빌고.....

 

 

 

파주 장단콩축제는 다른 축제처럼 먹고 즐기는 것이 주가 아니라는 점이다.

많은 분들이 집에서 부터 짐을 나를 카트나 배낭을 가져 온다.

주로 메주콩과 검정콩을 구입하는데 검정콩은 일찌감치 매진되므로 우선 물건부터 구입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도 파주에서 나는 농산물과 고추장, 된장, 두부를 비롯하여 가공식품이 주로 판매된다.

여기서는 안내책자에 판매자마다 번호+성명+전화번호+취급품목이 표시되어 있어 뜨내기는 없는 듯하다.

 

 

 

전국 360여개 팀중 일차 경연을 통과한 30개 팀이 참석한 콩요리경연대회도 열렸다.

경연대회가 끝나고 200명을 뽑아서 시식을 하였는데 우리 식구들도 콩요리를 맛보았다. 

 

 

 

메주만들기 체험도 하고.....

 

 

 

 

 

 

 

 

 

 

 

우리도 메주콩, 검정콩, 흑쌀, 청국장, 은행, 참외장아찌, 떡, 엿을 사서 배낭에 지고 다녔다.

오랜만에 콩타작하는 모습을 보니 도리깨질을 하고 싶었지만.....

 

 

 

지게.....

 

 

 

 

 

 

 

 

[전에는.....]  20111120

 

 

1117 -김포공항-행주대교-자유로-자유ic(파주 장단콩축제 : 되돌아서)-자유로-행주대교-김포공항- (파주 장단콩축제 : 111Km)

 

 

 

Posted by 하헌국
,

청주 국립청주박물관/20121113

 

국립청주박물관 외부에 있는 석조장승, 동자석, 문인석.....

 

 

 

 

 

 

 

 

 

 

 

 

 

 

 

 

 

 

 

 

 

 

 

[전에는.....]  20120525,  20101111,  20081016,  20071127

 

 

Posted by 하헌국
,

청주 국립청주박물관/20121113

 

어제에 이어 오늘의 날씨도 변화무쌍하다.

흐린가 했는데 햇살이 비추고, 비도 오고.....

이번 비가 그치면 겨울이 한걸음 다가 설 듯하다.

 

 

 

 

 

 

 

 

 

 

 

 

 

 

 

 

 

 

 

 

 

 

 

 

 

 

 

 

 

 

 

 

 

 

 

 

 

 

 

 

 

 

 

 

 

 

 

 

 

 

 

 

 

 

 

 

 

 

 

 

 

 

 

 

 

 

 

 

 

 

 

 

 

 

 

 

 

 

 

 

 

 

 

 

 

 

 

 

 

 

 

 

 

 

 

 

 

 

 

 

 

 

 

 

 

 

 

 

 

 

Posted by 하헌국
,

청주 국립청주박물관/20121112

 

일년에 한두번 업무차 방문하는 국립청주박물관.....

마침 월요일이라 관람객이 없어서 한적하다.

날씨가 변덕을 부려 비도 오고, 햇빛도 보이고, 첫눈도 왔다.

담쟁는 대부분 낙엽이 떨어졌다.

이제 가을도 끝자락이다.

 

 

 

 

 

 

 

 

 

 

 

 

 

 

 

 

 

 

 

 

 

 

 

 

 

 

 

 

 

 

 

 

 

 

 

 

 

 

 

 

 

 

 

 

 

 

 

 

 

 

 

 

 

 

 

 

 

 

 

 

 

 

 

 

 

 

 

 

 

 

 

 

 

 

 

 

 

 

 

 

 

 

 

 

 

 

 

 

 

 

 

 

 

 

 

 

 

 

 

 

 

 

Posted by 하헌국
,

빵모자 검증/20121115

 

1970년 2월 10일 친구들과 다녀온 여행사진을 친구가 스캔하여 보내주었다.

그 때 백양사 여행 사진을 보니 내가 쓰고 있는 빵모자가 혹시 지금까지 40여년 넘게 사용중인 빵모자가 아닐까하는 의구심이 생겼다.

 

 

지금 사용중인 빵모자의 원주인은 친구 오ㅇ인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언젠가 그 친구에게 확인해 보니 빵모자를 전혀 기억하지 못해서 어리둥절 하기도 하였다.

혹시 내 기억이 틀릴 수 도 있겠지 하였는데, 이 사진을 보니 지금 가지고 있는 빵모자의 원주인은 오ㅇ인이 확실하다.

 

'그 때가 그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0년 갑천 야유회  (0) 2015.02.09
아내의 옛날 앨범에서  (0) 2012.12.21
43년 전에.....  (0) 2012.11.14
시화공업단지 기공 기념타올  (0) 2012.08.17
혼수품  (0) 2011.07.09
Posted by 하헌국
,

43년 전에.....

 

1969년 12월 말쯤 셋이서 백양사-내장사-남원-화엄사-군산-현충사를 다녀온 것을 헤아려 보니 거의 43년이 되었다.

대학시험에 합격하고, 고등학교 졸업식은 하지 않은 그런 때였다.

(마지막날 현충사 부근에 숙소를 잡았는데 그날이 크리스마스 이브였는데 옆방에 우리 또레의 동네 남녀 학생들이 들어와서 밤새도록

술마시고, 드럼치며 노래하고, 싸우는 바람에 잠을 설쳤다. 이 후로 드럼소리가 들리면 그 시절 생각이 나서 싫어 했었는데 이제는

세월도 많이 흘러 기억도 희미해 졌는지 드럼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도 않아졌다)   

날씨도 추웠겠지만 아직 까까머리던 시절이라 빵모라를 썼겠지..... 

 

호남선 백양사역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지점에서 타고가던 기차가 고장났다.

차장이 지나가며  Steam out 되었다기에 순진하게도 증기기관차도 아닌데 무슨 Steam out인가 하고 고개를 갸웃했던 생각이 난다.

한참을 기다려서 백양사역에 도착하였다.

요즈음이라면 장성에서 버스를 이용했겠지만 그 때만해도 백양사역에서 백양사까지 산길을 걷는것 쯤이야 예삿일이였다.

눈길을 걸으며 불을 피워 손도 녹이며 백양사로 향하였다.

이 사진을 보니 내가 쓰고 있는 빵모자에 대한 내력도 다시 한번 검증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 된다.

 

 

여기가 어디쯤인지 전혀 기억이 없다.

이 사진도 처음 보는것 같은데 모두들 까까머리가 조금 길었다.

농구화 차림에 나는 군용 탄띠를 차고 있고 손에 든 것은 군용 항고??

(사진 중앙 왼쪽에 있는 수평방향으로 길죽한 흰 것 두개는 카메라 셧터에 구멍이 난 때문이다.

캐논 SLR카메라의 렌즈를 제거하고 카메라를 살펴보다가 담뱃불이 셧터막에 떨어졌다는 전설이.....)  

 

 

남원 광한루 연못이 꽁꽁 얼었다.

 

나는 5년전에 이사하는 과정에서 어려서부터 결혼하기 전까지의 사진과 졸업앨범을 몽땅 잊어버렸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친구에게 그 당시 사진을 부탁했더니 금방 찾아서 스캔하여 보내주었다.

 

 

북악산 서울성곽 : 43년만에 같이 간 여행/20121110

이제 모두들 머리카락도 엉글고 흰머리카락이 많이 섞였다.

'그 때가 그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의 옛날 앨범에서  (0) 2012.12.21
빵모자 검증/20121115  (2) 2012.11.15
시화공업단지 기공 기념타올  (0) 2012.08.17
혼수품  (0) 2011.07.09
발산동 옛집  (0) 2010.12.15
Posted by 하헌국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북악산 서울성곽(창의문-말바위) : 43년만에 같이 간 여행/20121110

 

1970년 1월쯤 셋이서 백양사-내장사-화엄사-현충사를 다녀온 것을 헤아려 보니 거의 43년이 되었다.

오늘이 셋이서 떠난 두번째 여행이구나 하는 생각이 가장 먼저 떠 올랐다.

만나자 마자 자연스럽게 그 시절의 여행 추억이 나오는 것을 보니 나 혼자만 그런 생각을 하였던 것은 아니였나 보다.

기차 타고 백양사역에서 내려 눈길로 백양사에 갔던 기억,

백양사 숙소에서 나일론 양말 말리려다 태운 기억,

백양사에서 내장사로 가는 길에 구멍가게에서 산 과자가 고향동네 제품이라 신기했던 기억,

현충사 숙소 옆방에서 드럼치는 소리에 잠못잤던 기억.....

그런데 신기한 것은 나는 기억하는데 친구는 모른다든지, 친구가 이야기하는 것이 나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경복궁역에서 버스를 타고 자하문고개에 내리니 서울성곽길이 시작되었다.

나이를 먹은 모습은 숨길 수 없겠지만 43년 전의 젊은 시절을 생각하며.....  

 

 

 

양천현령이였던 정선, 인왕산 부근에서 살았던 정선의 그림이 반갑다.

 

 

 

 

 

 

[출처] 북악산 서울성곽 안내도에서

 

 

 

창의문(북소문)

 

 

 

 

 

 

 

 

 

 

 

 

 

 

 

북한산도 보이고.....

 

 

 

 

 

 

 

백악마루에서.....

 

 

 

 

 

 

 

 

 

 

 

 

 

 

 

 

 

 

 

 

 

 

 

 

 

 

 

 

 

 

 

 

 

 

 

 

 

오늘의 등산 코스는 다리가 시원치 않다는 내 사정을 보아서 잛은 코스를 택하였다.

봄부터 점심시간에 걷기운동을 꾸준히 해서 인지 이 정도면 갈만하다.

자주 가지는 못하더라도 가끔이라도 같이 여행하자는 이야기도 했다. 

 

삼청공원에서 삼청동길과 인사동길을 지났다.

토요일 오후라서 그런지 젊은이들로 넘쳐난다.

좀 이름있는 식당이나 찻집은 긴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린다.

줄을 서서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겠나 하는 생각에 자리가 있는 찻집에서 차 마시고,

식당에서 저녁밥 먹으며 막걸리 한잔하고 밤늦게 헤어졌다.

 

Posted by 하헌국
,

광화문/20121110

 

20여년 전부터 잘 걷지 못한다는 핑계로 등산을 피해 왔었다.

70년대 부터 유일한 운동수단이 등산이였는데, 어느날 가만히 생각해 보니 동행자에게 피해를 주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일행에서 뒤쳐지는 횟수가 늘어나며 동행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고 등산을 자제하는 대신 승용차 여행을 다녔다.

한적한 곳을 좋아하고 등산을 좋아 했던 터라 승용차로 올라 갈 수 있는 산이나 임도여행을 좋아하게 되었다.

그런데 정말 오랜만에 친구들에게 이끌려 등산을 하게 되었다.

대신 어렵지 않은 북악산 서울성곽길 중에서 짧은 구간으로 가자고 했다.

 

11시에 경복궁역에서 만나기로 했으나 집에서 꾸무럭 거리느니 만나기 전에 경복궁이나 돌아 볼까해서 좀 일찍 출발하였다.

 

 

광화문역에서 광장으로 나오니.....

 

 

 

 

 

 

 

 

광화문에 도착하니 약속시간까지는 50분 정도가 남았다.

경복궁에 들어 가려면 두어시간의 여유는 있어야 하니 고궁박물관 주변이나 돌아 볼 생각이였다.

광화문에 들어서니 마침 수문장교대식이 시작되고.....

 

 

 

 

 

 

 

 

 

 

 

 

 

 

 

 

 

 

 

수문장교대식을 보고 고궁박물관 쪽으로 가니.....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경복궁으로 들어가니 여기는 한적하다.

 

 

 

 

 

 

 

 

 

 

 

 

 

 

 

 

 

 

 

 

 

 

 

 

 

 

 

 

 

 

 

서문으로 나오니 30여년 전에 근무했던 사무실 부근이다.

우유빛 유리와 고정창과 유리블럭으로 되었던 창문도 개폐가 가능한 투명창으로 바뀌어 있다.

그동안 세상이 많이 바뀌었음을 알려 준다.

건물색도 변하고 골목길마져 넓어져서 쉽게 알아보지도 못하였다.

 

 

 

 

 

 

 

그 당시 출퇴근길에 보았던 백송이 생각나서 일부러 찾아갔다.

태풍으로 나무가 부러진 후에도 가 본적은 있지만 세월이 무심하여 이제는 그루터기만 남아있다.

아들이 어렸을 때 여기서 좋아라 소리치다 주변에서 청년들이 갑자기 나타나는 바람에 놀라서 울던 추억이 있는 곳이기도하다.

 

 

 

 

 

 

 

 

1110 -우장산역-전철5-광화문역-광화문광정-광화문(수문장교대식)-고궁박물관 주변-통의동 백송-창의문(북소문)-숙정문(북대문)-말바위-삼청공원-삼청동길-인사동길-종로-광화문역-전철5-우장산역- (북악산 서울성곽 : 친구들과)

 

Posted by 하헌국
,

김포 약암리 선생님댁/20121104

 

오후에 약암리에 다녀 오려고 길을 나섰다.

가는 도중부터 비가 오기 시작한다.

오늘 다녀 오지 않으면 한동안 시간이 없을 것 같기도 하고, 전기공사 뒷마무리도 남아 있기 때문 이기도 하다.

 

 

 

 

 

 

곶감은 통풍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인지 곰팡이가 펴서 못먹게 생겼다.

 

 

 

오늘은 전기를 쓸 수 만 있도록 해 두었던 큰방의 선을 단정하게 정리하는 작업을 하였다.

 

 

 

불필요한 전선관을 잘라 내고, 벽에서 튀어나온 전선관은 토치램프로 달구어서 벽에 붙였다.

늘어진 전선은 보기 좋도록 고정시켰다.

 

 

 

 

주방쪽으로 연결된 노출 전선은 안전을 위해서 절단하여 테이핑 작업 후 애자에 고정 시겼다.

 

 

 

콘센트로 연결되는 전열선도 보기 좋도록 평보 윗부분에 고정시켰다.

 

 

[전에는.....] 

20121020.....   http://hhk2001.tistory.com/3797

20121013.....   http://hhk2001.tistory.com/3786

20121001.....   http://hhk2001.tistory.com/3771

 

 

1104 -김포공항-48-고촌-장기동-석모리-양곡-84-대명리-약암리(되돌아서)-84-누산3교-356-88신도로-발산ic- (약암리 선생님댁 : 69Km)

 

Posted by 하헌국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아산 삽교호(문방리) 해넘이/20121103

 

마곡사에서 집으로 되돌아 오는 길에 일부러 시간을 내서 인주사거리에서 당진 방향에 있는 삽교호에 갔다.

늦가을이라 여름철에 비하면 아직 이른 시간 인데도 이미 햇살이 힘을 잃어 좀 더 빨리 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해가 뉘였뉘였 넘어가는 추수가 끝난 들판에는 새떼가 장관을 이룬다.

 

 

 

 

 

 

 

 

 

 

 

 

 

 

'여기는요_201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포 약암리 선생님댁/20121104  (0) 2012.11.07
아산 삽교호(문방리) 해넘이/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Posted by 하헌국
,

공주 마곡사/20121103

 

 

 

 

 

'내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에는...../20130101  (0) 2013.01.17
상을 받았다/20121224  (0) 2013.01.16
홍천 자운리임도/20121021  (0) 2012.10.23
발산아름학예회/20121011  (0) 2012.10.19
먹기 아까운 앵그리버드 송편/20120930  (0) 2012.10.05
Posted by 하헌국
,

공주 마곡사/20121103

2012. 11. 7. 14:27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공주 마곡사/20121103

 

 

 

 

 

 

 

 

 

 

 

 

 

 

백송

 

 

 

 

 

 

 

 

 

 

 

 

 

 

 

 

 

 

 

 

 

 

 

 

 

 

 

 

 

 

 

 

 

 

 

 

 

 

 

 

 

 

 

 

삭발바위

 

 

 

 

 

 

 

 

 

 

 

 

 

 

 

 

 

 

 

 

'여기는요_201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산 삽교호(문방리) 해넘이/20121103  (2)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6
강화도 백련사/20121028  (0) 2012.11.01
Posted by 하헌국
,

공주 마곡사/20121103

 

 

 

 

 

 

 

 

 

 

 

 

 

 

 

 

 

 

 

 

 

 

 

 

 

 

 

 

 

 

 

 

 

 

 

 

 

 

 

 

 

 

 

 

 

 

 

 

 

 

 

 

 

 

 

 

 

 

 

 

 

 

 

 

 

 

 

 

 

 

 

 

 

 

 

 

 

 

 

 

 

'여기는요_201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6
강화도 백련사/20121028  (0) 2012.11.01
강화도 백련사/20121028  (2) 2012.11.01
Posted by 하헌국
,

공주 마곡사/20121103

 

춘 마곡, 추 갑사라는 말이 있지만 가을철에 마곡사에 갔다.

일찍 서둘러 출발해서 인지 서해안고속도로 톨게이트까지는 무난하게 왔다.

여기서 부터는 고속도로가 정체되어 비봉ic에서 국도로 나오니 한결 수월하다.

아산을 지나니 네비게이션이 없으면 찾아 가기도 힘들 만큼 갈림길이 많다.

마곡사로 가는 길가는 단풍이 한창이고, 한적한 지방도로에는 도로에서 탈곡한 벼를 말리느라 통행이 자유롭지 못하다.

 

 

 

 

 

 

 

 

 

 

 

 

 

 

 

 

 

 

 

 

 

 

 

 

 

 

 

 

 

 

 

 

 

 

 

 

 

 

 

 

 

 

 

 

 

 

 

 

 

 

 

 

은행잎은 모두 떨어졌다.

올해는 감이 대풍이라던데 은행도 많이 열렸다

 

 

 

 

 

 

 

 

 

 

 

 

 

 

 

 

 

 

 

     

      동방지국천왕 - 손에 푸른 칼

     치국안민-동방국=유진타, 입모양이 성난 윗니한줄로 아랫 입술 물고 있음=남색 얼굴, 녹두색 목속옷+고동색 목수건+황금색 가슴갑옷+진홍색 끈, 휘하=비사사(식혈육귀)+건달바(+고기는 안 먹고 향기만 맡는 음악의 신-일하지 않고 주색잡기에 빠지는 건달의 어원)

     

      북방다문천왕 - 비파를 들고 있음

     +++귀 담당-부처님의 법을 지킴, 눈썹과 수염이 하얗다-본존불 닮음-내리 감은 눈-검게 칠한 곳은 조선조 억불시 장인의 맥이 끊긴 때문, 입모양이 미소짓고 윗니 2개 보임, 암록색 가슴옷+검정 끈, 휘하=야차(얼굴과 몸이 괴상하고 사나움)+나찰(신통력으로 사람을 호려 잡아먹는 지옥 귀신)

 

      [사천왕에 대한 설명은 최명희님의 대하소설 혼불에서 정리한 것으로 마곡사의 사천왕상의 모습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

 

 

 

      남방증장천왕 - 오른손에 황룡을 쥐고 있음

      =증광천왕-중생의 삶에 이로움을 가져다 줌, 이가 보이지 않음, 빨강 가슴옷+회색끈, 휘하=구반다(말머리+사람얼굴-사람정기 방아 먹음)+벽협다(아귀)

     

      서방광목천왕 - 오른손에 깃발단 삼지창(=)+왼손에 5층보탑 들고 있음

      -중생을 보살핌, 위아랫니가 모두 드러나게 입을 벌려 포효, 연옥색 가슴옷+진남색 끈, 휘하=부난다(악취나는 귀신)+호법의 용

 

      [사천왕에 대한 설명은 최명희님의 대하소설 혼불에서 정리한 것으로 마곡사의 사천왕상의 모습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

 

 

 

최명희님의 [혼불]에서 사천왕에 대한 부분.....

 사천왕-(P60)-부처님의 법을 수호하는 천신-절 경내의 첫 번째 문인 천왕문에 봉안-+++북천왕-1300년전인 삼국시대부터 사천왕을 봉안하기 시작, 무서워서 귀엽다, 호국+호법 차원에서 중창, 인도고대종교 귀신들의 왕-부처님께 귀의하여 수호신이 됨-질병+고통에서 벗어나려고 섬기는 신앙, 일본불교에는 사천왕을 섬기는 종파 있음, 사천왕은 부하 권속들과 인간세간 선악 살핌-8=사자들이+14일은 태자+15일은 사천왕이 상전인 선견성에 사는 제석천(=도리천=세계의 중심-수미산 꼭대기 하늘)임금에게 보고, 사천왕 얼굴이 험상굿고 무서운 것=용맹+위엄 극대화-인간 죄의식을 불러 이르켜 각성 시키려함, 손톱이 짧고 곱다, 명나라 갑옷이 원형, 사천왕 중건 불사의 뜻=나라 되찾고 올바른 서상에서 살기 염원, 완주 송광사 차천왕상=조선에서 가장 빼어남+사천왕상의 전형-흙으로 빗은 가장 오래 된 것, 경기도 칠장사 사천왕-가장 슬픈 얼굴, 머리에 보살이 쓰는 보관을 씀, 직지사+법련사+보림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지 않고 사천왕이 남아 있는 곳

 

사천왕이 있는 절-(P101)완주 송광사+선운사+화엄사+여천 흥국사+고흥 능가사+영광 불갑사+직지사+청도 적천사+남해 용문사+쌍계사+통도사+법주사+....

 

일본 사천왕상-무채색의 화강암 등 사용-사람크기로 만듬+잔혹한 인간 얼굴

 

인다라망-그물-세간에 얽히고 설킨 인과 상징-사천왕 있는 성을 둘러싼 것중 하나

 

사천왕 발에 짖밟힌 것(P180)=악귀들-왜 밟고 있는지는 경전 등의 기록에 없음-후대에 인간에게 경각심을 주려고 변형된 것-악귀+탐관오리+못된 부자+무지렁이(=어리석은 자-자신을 닦아서 존귀하지 못하고 방치한죄)+가릉빈가(=반인반조-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새=가라빈가=빈가=극락조-타락한 천사?의 극대비 양면성)+음녀

 

사천왕문에 여인이 있는 곳-고창 선운사+고흥 능가사

 

사천왕 발 밑에 악귀와 사람이 등장-조선 숙종 때부터

 

사천왕상-명나라 장수복장을 한 서역인

 

 

 

 

 

 

 

 

 

 

 

 

 

 

 

 

 

 

 

 

 

 

 

 

 

 

 

 

 

 

 

 

 

 

마곡사 해설사 분이 춘 마곡, 추 갑사가 아니라 춘하추동 마곡이라 하시던데 특히 명부전 부근의 단풍이 환상적이다.

이 청단풍은 오랫동안 볼수 있다고 한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일주문 앞에서 가을의 진미인 토란과 서리 맞은 어린 고추를 샀다. 그리고 돔부도.....

 

 

1103 -남부순환-서부간선-서해안고속-비봉ic-39-아산만방조제-아산-623-보산원삼거리-629-부곡삼거리-604--마곡사(되돌아서)-604-629-623-아산(밥먹고)-39-인주사거리-34-문방교차로-삽교호 뚝길(일몰)-34-39-양촌ic-47-산본ic-서울외곽순환-조남jc-서해안고속-서부간선-고척교사거리-경인로-구로소방서-화곡터널- (공주 마곡사 : 291Km)

 

'여기는요_201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공주 마곡사/20121103  (0) 2012.11.07
강화도 백련사/20121028  (0) 2012.11.01
강화도 백련사/20121028  (2) 2012.11.01
강화도 연미정/20121028  (0) 2012.11.01
Posted by 하헌국
,

강화도 백련사/20121028

2012. 11. 1. 16:3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