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사/20130927
북방다문천왕 (왼쪽) - 비파를 들고 있음-재+복+부+귀 담당-부처님의 법을 지킴
동방지국천왕 (오른쪽) - 손에 푸른 칼-치국안민-동방국=유진타
[사천왕에 대한 설명은 최명희님의 대하소설 혼불에서.....]
남방증장천왕 (왼쪽) - 오른손에 황룡을 쥐고 있음=증광천왕-중생의 삶에 이로움을 가져다 줌
서방광목천왕 (오른쪽) - 오른손에 깃발단 삼지창(=당)+왼손에 5층보탑 들고 있음-중생을 보살핌
[사천왕에 대한 설명은 최명희님의 대하소설 혼불에서.....]
[참고자료]
최명희님의 [혼불]에서 사천왕에 대한 부분.....
사천왕-(P60)-부처님의 법을 수호하는 천신-절 경내의 첫 번째 문인 천왕문에 봉안-동+남+서+북천왕-1300년전인 삼국시대부터 사천왕을 봉안하기 시작, 무서워서 귀엽다, 호국+호법 차원에서 중창, 인도고대종교 귀신들의 왕-부처님께 귀의하여 수호신이 됨-질병+고통에서 벗어나려고 섬기는 신앙, 일본불교에는 사천왕을 섬기는 종파 있음, 사천왕은 부하 권속들과 인간세간 선악 살핌-8일=사자들이+14일은 태자+15일은 사천왕이 상전인 선견성에 사는 제석천(=도리천=세계의 중심-수미산 꼭대기 하늘)임금에게 보고, 사천왕 얼굴이 험상굿고 무서운 것=용맹+위엄 극대화-인간 죄의식을 불러 이르켜 각성 시키려함, 손톱이 짧고 곱다, 명나라 갑옷이 원형, 사천왕 중건 불사의 뜻=나라 되찾고 올바른 서상에서 살기 염원, 완주 송광사 차천왕상=조선에서 가장 빼어남+사천왕상의 전형-흙으로 빗은 가장 오래 된 것, 경기도 칠장사 사천왕-가장 슬픈 얼굴, 머리에 보살이 쓰는 보관을 씀, 직지사+법련사+보림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지 않고 사천왕이 남아 있는 곳
사천왕이 있는 절-(P101)완주 송광사+선운사+화엄사+여천 흥국사+고흥 능가사+영광 불갑사+직지사+청도 적천사+남해 용문사+쌍계사+통도사+법주사+....
일본 사천왕상-무채색의 화강암 등 사용-사람크기로 만듬+잔혹한 인간 얼굴
인다라망-그물-세간에 얽히고 설킨 인과 상징-사천왕 있는 성을 둘러싼 것중 하나
사천왕 발에 짖밟힌 것(P180)=악귀들-왜 밟고 있는지는 경전 등의 기록에 없음-후대에 인간에게 경각심을 주려고 변형된 것-악귀+탐관오리+못된 부자+무지렁이(=어리석은 자-자신을 닦아서 존귀하지 못하고 방치한죄)+가릉빈가(=반인반조-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새=가라빈가=빈가=극락조-타락한 천사?의 극대비 양면성)+음녀
사천왕문에 여인이 있는 곳-고창 선운사+고흥 능가사
사천왕 발 밑에 악귀와 사람이 등장-조선 숙종 때부터
사천왕상-명나라 장수복장을 한 서역인
산사음악회 준비가 한창이다.
[출처 : 문화재청-문화유산정보]
도솔산 북쪽 기슭에 위치한 선운사는 진흥왕(재위 540∼576)이 처음 짓고 검단선사가 다시 지었다고 한다.
조선 성종 3년(1472) 극유에 의해 10여 년에 걸친 공사로 건물이 189채나 되는 큰 규모의 사찰로 성장하였다.
다른 사찰과는 달리 독특한 배치를 보이는데, 천왕문과 바로 연이어서 만세루와 대웅전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문과 만세루와 대웅전의 중심선 축이 전체 배치의 한쪽 부분에 치우쳐 있는 것 역시 일반적인 방법은 아니다.
만세루는 앞면 9칸·옆면 2칸 규모의 강당 건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만세루는 뒷면의 대웅전과 마주보며 개방되어 있어 설법을 위한 강당으로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기둥들은 모두 자연 그대로의 둥근 기둥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모서리 기둥은 큰 자연목을 껍질만 벗기고 다듬지 않은 채 그대로 사용하였다.
넓은 평면에 비해 높이가 낮은 누 형식이며 불규칙한 형태의 부재료들을 사용한 것은
당시 목재가 부족하여 남은 재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원목을 다듬지 않은 채 사용하여 단순한 구조와 장엄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내부공간의 처리는 조형적으로 잘 정리되지 않은 듯한 느낌을 준다.
만세루에 쓰인 기둥과 보와 서까래 등은 번뜻한 목재가 아니라 제멋대로 제각각이다.
특히 기둥은 이어서 만들었는데 이음 위치와 방향은 구조적인 고려가 되어있다.
지진 피해가 없는 우리나라에서나 가능하지 않았을까?
범상치 않은 산봉우리.....
사람을 무서워 않고 물을 마신다.
[출처 : 문화재청-문화유산정보]
천연기념물 제184호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 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春栢), 추백(秋栢), 동백(冬栢)으로 부른다.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백제 위덕왕 24년(577) 선운사가 세워진 후에 만들어 진 것으로 나무의 평균 높이는 약 6m이고, 둘레는 30㎝이다.
절 뒷쪽 비스듬한 산아래에 30m 넓이로 가느다란 띠모양을 하고 있다.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아름다운 사찰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사찰림으로서의 문화적 가치 및 오래된 동백나무숲으로서의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여기는요_2013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 선운사/20130927 (0) | 2013.10.14 |
---|---|
고창 선운사 도솔암/20130927 (4) | 2013.10.14 |
고창 선운사 꽃무릇/20130927 (2) | 2013.10.14 |
부안 변산반도국립공원(외변산)/20130927 (4) | 2013.10.10 |
부안 변산반도국립공원(내변산)/20130927 (2)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