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조돈'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4.05.08 27. 서울 궁산/20140425 6

27. 서울 궁산/20140425

 

정선겸재미술관에 왔다가 점심시간에 잠시......

 

 

 

 

 

 

 

 

 

 

 

 

 

 

 

 

 

 

 

 

 

 

 

 

 

 

 

 

 

 

 

 

 

 

 

 

 

 

 

 

행주산성.....

 

 

 

하늘이 뿌엿기도 하지만 나무가 가려서 남산(목멱산)은 보이지 않고....

 

 

 

위 포토아이랜드의 그림은 [금성평사]이지만 [소악월후]와 같은 배경의 그림이다.

 

 

 

 

 

 

 

 

 

 

목멱조돈

 

曙色浮江漢     (서색부강한)     새벽 빛 한강에 떠오르니              

觚稜隱釣參     (고릉은조삼)     언덕들 낚싯배에 가리네.

朝朝轉危坐     (조조전위좌)     아침마다 나와서 정좌하
初日上終南     (초일상종남)     첫 햇살 남산 위로 오르네.             

 

 

사천 이병헌(당시 71세)이 평생 친구로 지낸 겸재 정선(당시 66세)의 그림을 보고 시를 지었는지,

시를 보고 그림을 그렸는지는 모르지만 둘 사이의 우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천금물전(千金勿傳)="천금을 준다해도 남에게 넘기지 말자"라는 낙관보다 큰 인장이 찍혀있다.

 

종남산은 북방에서 오는 봉화를 마지막으로 받는 남쪽 끝의 산이라는 뜻으로 목멱산과 함께 남산의 옛이름의 하나임. 

 

경교명승첩 [京郊名勝帖]

조선 후기 화가 정선(鄭敾:1676~1759)이 서울 주변의 풍경을 그린 대표적인 진경산수화첩.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 각 폭은 세로 20.8~31㎝, 가로 16.8~41㎝. 간송미술관 소장. 1권으로 되어 있었으나 1802년 2권으로 개첩되었다. 상첩에는 정선이 양천(陽川:지금의 서울 강서구 가양동·등촌동 일대) 현령으로 재임하던 1740~41년에 친구 이병연(李秉淵)과 시와 그림을 서로 바꿔보자는 약속을 위해 그렸던 양천팔경을 비롯하여 한강과 남한강변의 명승도들이 수록되어 있다. 하첩은 상첩보다 10여 년 뒤에 그려진 것으로, 서울 주변의 실경도들과 함께 타계한 이병연을 회상하며 양천에 있을 때 그로부터 받은 시찰(詩札)을 화제로 한 그림들이 실려 있다. 상·하첩에 모두 33점이 수록되어 있으며 파묵(破墨)·발묵(潑墨)·훈염법(暈染法)에 토대를 두고 발전된 그의 60대 후반에서 70대 중반의 독창적인 진경산수의 특색과 변모의 과정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洪善杓 글

 

[출처] 다음백과사전 

 

 

 

 

 

 

 

 

 

 

 

[전에는]

20090101.....  http://hhk2001.tistory.com/2527     http://hhk2001.tistory.com/2528     http://hhk2001.tistory.com/2529

 

 

 

 

 

 

 

 

Posted by 하헌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