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한강 소설]을 읽고/20250702
(독서 : 20250628-20250702)
읽어보지 않더라도 다른 작가의 소설과 한강 소설을 책장을 넘겨보며 비교해보면 한강의 소설은 여기저기 여백이 많다. 같은 분량이라면 그자 수가 적다고나 할까? 특히 '흰'은 소설이라기보다 시가 아닐까 할 정도로 여백이 많다. 글자가 없는 쪽도 있고, 사진인지 그림도 있고, 종이도 유난히 두꺼워서 읽는 도중에 두 장을 넘기는 것이 아닐까 해서 손가락으로 비비거나 쪽 번호를 확인하기도 하였다. 바로 전에 읽은 은희경의 장편소설 '새의 선물'과 비교하자면 새의 선물이 전자제품의 사용설명서처럼 글 자체를 꼼꼼하게 읽으면 이해할 수 있다면, '흰'은 사용설명서가 없는 전자제품의 사용법을 터득하기 위하여 요리조리 조작해 보면서 사용법을 알아가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든다. 소설을 읽으면서 작가가 이야기하려는 것을 확실하게 전달하려고 한다기보다 소설에 독자의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주고 있다.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쓴 자전적인 소설로 [넋]에... 폴란드는 폭격에 부서지지 않은 나치에게 총살당했던 벽을 새 건물 앞으로 옮겨서 초와 꽃을 바친다. 이는 넋을 위한 일만은 아니고 살육당한 것은 수치가 아니라고 믿는 것으로 가능한 한 오래 애도를 유지하려고 한다. 반면 한국은 죽은 자들이 애도를 온전히 받지 못하였다. 애도를 제대로 해내지 못하였다. 결별과 애도가 생략되며 청산되지 않은 자리마다 깨끗한 장막을 덧대어 가렸을 뿐이다.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와 '소년이 온다'와 연관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엉망으로 넘어졌다가 얼어서 곱은 손으로 땅을 짚고 일어서던 사람이, 여태 인생을 낭비해 왔다는 걸 깨달았을 때, 씨팔 그 끔찍하게 고독한 집구석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이게 뭔가, 대체 이게 뭔가 생각할 때 더럽게도 하얗게 내리는 눈.(54쪽)
왜냐하면, 당신은 언젠가 반드시 나를 버릴 테니까. 내가 가장 약하고 도움이 필요 할 때, 돌이킬 수 없이 서늘하게 등을 돌릴 테니까. 그걸 나는 투명하게 알고 있으니까. 그걸 알기 전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으니까.(99쪽)
결혼식을 앞둔 이들은 서로의 부모에게 옷을 선물해야 한다. 산자에겐 비단옷을, 망자에겐 무명 소복을.... 동생이 건넨 라이터로 소매에 불을 붙이자 파르스름한 연기가 일었다. 흰옷이 그렇게 허공에 스미면 넋이 그것을 입을 거라고, 우리는 정말 믿고 있는가?(124쪽)
죽지 마. 죽지 마라 제발.... 그것만이 최선의 작별의 말이라 믿는다. 죽지 말아요. 살아가요.(128쪽)
'일상_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등포역(Ju+Thomas 배웅)/20250629 (2) | 2025.06.29 |
---|---|
새의 선물(은희경 장편소설)을 읽고/20250615 (2) | 2025.06.15 |
중학교 재경 동창회 2025 상반기 정기총회/20250613 (0) | 2025.06.14 |
영등포역(Sim+Ju 배웅)/20250608 (2) | 2025.06.09 |
스마트폰 유심 교체/20250604 (0)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