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흑점 2192
요즈음 태양흑점 폭발경보가 연이어 발령되어 어제 오후에 흑점촬영을 해 볼까해서 일찍 퇴근하였지만,
해가 구름 사이를 휘젖고 다녀서 기회를 엿보다가 포기하였다.
단풍이 한창이 때인 만큼 춘천 품걸리로 여행을 떠났다.
이른 아침에 출발하여 강변북로를 달리며 안개속을 넘나드는 해를 볼 수 있었다.
운전중이라 자세히는 볼 수 없지만 언듯언듯 보니 맨눈으로 흑점이 보인다.
6D+Nikkor80~200mm/f200mm/F?/ 1/128초/ISO50/수동/AWB모드/바더태양필터(AS50)/크롭/20141025.15:13/춘천 품걸리 임도
여행중에도 흑점촬영을 염두에 두고 있었지만 하루종일 엷은 안개가 끼어 사진촬영을 계속 미루다가
그래도 높은 곳에서 촬영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에 품걸리 임도의 정상인 늘목재에 좀 못미쳐서 촬영하였다.
흑점 2192는 10월 19일, 22일, 25일, 26등 4차례에 걸쳐 흑점폭발(전파두절) 3단계경보가 발령될 만큼 강력하고 25일에는 흑점크기가
지구 크기의 32배로 목성크기 만큼 커서 1989년 이후 가장 규모가 큰 흑점이라고 한다.
[출처]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
[출처]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
[출처]국립전파연구원 우주전파센터
'별이 있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대 흑점의 귀환/20141118 (4) | 2014.11.18 |
---|---|
김포 석탄리 일몰/20141109 (2) | 2014.11.16 |
태양흑점 2192/20141025 (4) | 2014.10.26 |
개기월식/20141008 (4) | 2014.10.08 |
추석날 뜬 슈퍼문/20140908 (6) | 2014.09.11 |
서울 성산대교 월몰/20140828 (1) | 2014.09.0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역시 전문가 답게 태양의 흑점을 잘 담으셨네요...
전문적인 설명과 함께...
오늘도 좋은 우주에 관한 내용 잘보고 갑니다..
잘 보셨다니 고맙습니다.
캐논카메라에 니콘렌즈이니 촛점을 수동으로 맞추느라 공을 들였습니다.
촛점을 잘 맞추는 것이 천체사진에서는 정말 중요하구요.
그러니 촛점 맞추고 찍고, 또다시 맞추고 찍기를 여러번 반복해서
노출과 촛점이 잘 맟는 것으로 골라서 후처리한 것입니다.
30여장 찍었는데 3장 정도만 쓸만하네요.
춘천을 다녀가셨군요!
품걸리 임도 어디쯤에서 찍으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아마도 대기가 안정돼있고 높은 곳이라 공기도 맑아서
임도를 자주 찾으시는 게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태양필터를 쓰셔서 흑점이 더 자세히 나온 것 같은데
아래의 붉은 태양처럼 쌀알무늬까지 촬영을 하려면
어떻게 찍어야 하는 건지 노하우를 좀 가르쳐주시기 바랍니다. -_-;;
600미리에다 컨버터를 끼워 찍어도 나타나지 않던데...!
아무튼 오랜만에 천체사진을 찍으신 것 같습니다.
즐거운 시간 되셨길 빕니다! ^^
10월 18일 불발현과 살둔계곡을 다녀 왔는데 율전 이전에는 단풍이
덜들고 율전 이후로는 절정기가 지나서 좀 서운했습니다.
그래서 일주만에 원동리에서 홍천고개를 넘어 물로리와 품걸리와
늘목재를 거쳐 야시대리로 나왔습니다.
20여년 동안 홍천에서 보아온 단풍 구경중에서 이번에 본 것도 몇번째
이내에 들 정도로 좋았습니다.
태양의 쌀알무늬나 코로나 촬영하시려면 H-Alpha Fillter로 가능하구요.
참고로 여기 들어가 보시면 자료가 있습니다.
http://www.sky39.com/product.htm?mode=product_list&cate_code=1015&level=&ea=ea1&site=shop
워낙 고가라서 저는 엄두를 못내고 가장 저렴한 알미늄호일로 된
A4 크기의 바더필터를 구입해서 자작했습니다.
태양이 회색으로 보여서 단조롭기는 해도 감수해야지요.
요즈음 허블망원경이나 세계적인 천문대에서 촬영한 이미지도
컴퓨터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세상에 사니 눈이 높아진 셈이지요.
꼭 내 손으로 촬영해야 할까 하는 생각도 들고 경제적인 문제도 있구요.
천체관측 대상에서 태양은 별 보다는 관측 조건이 월등히 좋은 셈이니
태양관측으로 대상을 돌리는 분들도 늘어나는 것 같드라구요.